javaScript/typeScript

installation & setting

부엉이사장 2024. 8. 14. 12:37

# 설치

타스는 노드js가 필요하다.

npm install -g typescript

이걸로 타스를 설치하자.

 

# .ts 파일 만들기

.ts로 만드는 파일을 만들자

이렇게 index.ts라는 파일을 만들고 타스코드를 입력하면 된다.

 

# tsconfig.json이라는 파일도 만들자

{
  "compilerOptions": {
    "target": "es5",
    "module": "commonjs"
  }
}

이내용 복붙해놓자

 

 

# 실시간 컴파일

tsc -w

이거 커맨드에 치면 index.js라는 파일이 생긴다.

이게 자동컴파일 해준다는거다. 

그러면 .ts파일을 저장할때마다 컴파일이 자동으로되면서

이렇게 커맨드에 에러있는지 없는지 체크해준다.

 

 

설치는 아주 단순하고 쉽다.. 리액트나 vue에 적용하는건 따로 해봐야할듯.

 

 


# 기본 사용법

let test: string = "바보";

이렇게 test라는 변수가 string만 된다 라고 해줄 수 있다.

 

그냥 선언과 할당을 나눠도된다.

let test: string;
test = "muzzi";

test라는 변수는 문자형 식별자고 여기에 muzzi를 넣었다.

let test: string;
test = 1;

이렇게 문자형인 test에 1을 재할당하면

오류를 띄워준다.

이게 타스쓰는 이유다.

개인적인 느낌으론 걍 데이터에 재할당을 조심하게 해주는것 같다.

근데 이게 컴파일이 필요한 언어인데 컴파일후 js코드가 쭈르륵 나오면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데이터, 백단에서 받아오는 데이터가 잘못되었을경우엔 어떻게 체크하는지 원리가 궁금하긴함.. 

index.js파일 보니까 var로 다 되어있고 따로 체크하는 코드는 없던데 원리는 뭔지 궁금..

 

찾아보니 컴파일시에만 타입검사한다네. 런타임떄는 안함.

 

 

# 타입 변수로 사용하기

type nameType = string;

let test: nameType = "무찌";

이렇게 해당 타입을 nameType이라는 변수로 지정하여(변수라는 용어가 맞는지 모르겠지만..)

이걸 나중에 각각 변수 선언할때 요약해서 쓸 수도 있다.

데이터 형식을 요약할때 쓰면 좋을듯?

 

 

 

# tsconfig.json파일내용

{
 "compilerOptions": {

  "target": "es5", // 'es3', 'es5', 'es2015', 'es2016', 'es2017','es2018', 'esnext' 가능
  "module": "commonjs", //무슨 import 문법 쓸건지 'commonjs', 'amd', 'es2015', 'esnext'
  "allowJs": true, // js 파일들 ts에서 import해서 쓸 수 있는지 
  "checkJs": true, // 일반 js 파일에서도 에러체크 여부 
  "jsx": "preserve", // tsx 파일을 jsx로 어떻게 컴파일할 것인지 'preserve', 'react-native', 'react'
  "declaration": true, //컴파일시 .d.ts 파일도 자동으로 함께생성 (현재쓰는 모든 타입이 정의된 파일)
  "outFile": "./", //모든 ts파일을 js파일 하나로 컴파일해줌 (module이 none, amd, system일 때만 가능)
  "outDir": "./", //js파일 아웃풋 경로바꾸기
  "rootDir": "./", //루트경로 바꾸기 (js 파일 아웃풋 경로에 영향줌)
  "removeComments": true, //컴파일시 주석제거 

  "strict": true, //strict 관련, noimplicit 어쩌구 관련 모드 전부 켜기
  "noImplicitAny": true, //any타입 금지 여부
  "strictNullChecks": true, //null, undefined 타입에 이상한 짓 할시 에러내기 
  "strictFunctionTypes": true, //함수파라미터 타입체크 강하게 
  "strictPropertyInitialization": true, //class constructor 작성시 타입체크 강하게
  "noImplicitThis": true, //this 키워드가 any 타입일 경우 에러내기
  "alwaysStrict": true, //자바스크립트 "use strict" 모드 켜기

  "noUnusedLocals": true, //쓰지않는 지역변수 있으면 에러내기
  "noUnusedParameters": true, //쓰지않는 파라미터 있으면 에러내기
  "noImplicitReturns": true, //함수에서 return 빼먹으면 에러내기 
  "noFallthroughCasesInSwitch": true, //switch문 이상하면 에러내기 
 }
}

 

뭐이런것들이 있다는데.. 난 잘 모르겠다.. 쓰면서 배워봐야할듯.

https://www.typescriptlang.org/tsconfig

 

TSConfig Reference - Docs on every TSConfig option

From allowJs to useDefineForClassFields the TSConfig reference includes information about all of the active compiler flags setting up a TypeScript project.

www.typescriptlang.org

여기서 자세한거 많다고함

 

 

 

# 궁금점

내가 보통 코딩을 할때 처음 특정 식별자를 비워둘때 null로 만들어놓는다.

그다음 이 식별자에 값을 할당하고 쓰는데 ts에서는 어떻게 될지 궁금하다.

let test: string;

console.log(test);

이런식으로 test라는 값은 string이다 라고 해놓고 이걸 바로 참조하면 undefined가 뜨려나?

ts자체에선 오류가 안뜨던데..

 

보통은 변수값에 string | null이렇게 두 타입을 같이 해놓고 한다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