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서버를 이해하면서 코드를보면서 대충 이해는 했지만
직접 작성을 하면서 익숙해지기는 어렵게 늦겨진다..
axios json등 개념부분은 이해가 되는데 직접 코드를 봐도 사실 이해가 잘 안됬따.
그래서 코드를 하나하나 차근차근 따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 포스트를 작성했다
그럼 자~ 시작!
먼저 req.method라는게 get, post등등은 있지만 method라는 객체는 뭔지 모르겠었는데
링크에 주소를 치고 엔터를 치면 get요청이 들어온다.
요렇게 말이다.
그냥 localhost에 들어가면 front.html을 보여주고
여기서 하나 실험해볼게 /users페이지다.
나는 users라는변수를 바보로 했고 이걸 res.end로 보내면 /users에 접속했을때 바보라는 글자가 뜬다.
근데 여기서 중요한건 json파일이다.
사실 제이슨에대해서 좀 개념이 이해안되서 싹다 정리해봐야겠다.
객체를 json으로 바꿀때 JSON.stringify()인데 이걸 문자열로 만들어준다.
JSON이 문자열이니까 그냥 json파일로 만든다고 보면된다.
따라서 불리언 타입인 true도 저 코드로 치면 스트링으로 된다. 못믿겠으면 typeof로 감싸봐.
또한 어레이도 바꿔보자.
출력해보면
이렇게 쌍따옴표로 된다. 이것도 제이슨 형식으로 바뀐거다. parse로 꺼내보면 어레이로 쓸수가 있다.
제이슨으로 바꾸는건 객체도 넣을수 있는데 메서드(함수)는 바꿀수가 없다.
제이슨 replacer사용
이렇게 그냥 객체가 있다
여기서 이 객체의 원하는값만 json화 시킬수 있는데
json리플레이서를 사용하면 된다.
출력해보면
이렇게 이름만 넣은 제이슨을 가져올수 있다.
꼭 JSON.stringify(object, [원하는키값]) 양식으로 써줘야한다. 어레이에 넣어야 된다는 말씀.
JSON.parse(제이슨형식)
출력해보면
'javaScript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js 서버 // http 서버 차근차근 -3 GET요청(axios) (0) | 2022.06.27 |
---|---|
nodejs 서버 // http 서버 차근차근 -2 POST요청(axios) (0) | 2022.06.27 |
노드js http// 서버열기 (0) | 2022.06.24 |
노드js 내장모듈// fs 파일관리 시스템 -1 (0) | 2022.06.23 |
노드js 내장모듈// process(spawn) 노드로 다른언어 실행시키기. (0) | 2022.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