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20

git 활용 step 3rd-#2 / collaborator로 협업하기

Introduction이번에는 collaborator로 협업하기 포스팅을 해보겠다.협업하기 포스팅 fork에서는 각자의 깃허브 계정에 레포지토리를 fork로 복제해와서 pull request를 날리는 방식으로 협업을 했지만, collaborator는 한 레포지토리를 가지고 여러 팀원이 협업하는 방식이다.때문에 fork보다 더욱더 직관적이고 이해하기는 더 쉬울듯?암튼 할말 없어서 바로 시작해봄이전 fork로 협업하기 포스팅처럼 이렇게 환경구성을 헀다.모두 각자의 컴퓨터에서 협업을 하는 그림이기 때문에 무찌와 도리 모두 컴퓨터가 존재하다는 상황을 만들기위해 우분투 이미지로 VM을 팠고 각자의 github의 계정으로 로컬상에 로그인을 해둔 상태임   collaborator로 협업하기는 어떤 구조야?보통은 팀장..

git/git 2025.01.08

git 활용 step 3rd-#1 / fork로 협업하기

Introduction드디어 깃헙으로 협업하기 포스팅이다.이전에도 말했지만, 난 협업경험이 없다. 때문에 포스팅이 잘못됐다면 지적해주면 매우 감사드리겠음.팀프로젝트가 있는데 협업경험이 없다고? 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정확히는 팀프로젝트 두번 다 개발적으로 협업하는게 어려운 상황이었다.첫번째 팀프로젝트는 네트워크인프라 교육과정에서 파이널 프로젝트였기때문에, 팀원 총 다섯분 중, 인프라팀 세분, 개발팀 두 명중에 나는 개발팀이었다. 애초에 개발팀인원자체가 적었어서 개발적으로 협업이 애매했다.더해서 개발팀원 한분과 같이 협업을 했는데, 서로 쓰는 언어가 달랐음..또한 네트워크 인프라에서는 msa가 대세기때문에 우리팀도 eks쿠버네티스 환경에서 msa구조의 서비스를 만들었다. 때문에 서로 같은 레포지토리를 ..

git/git 2025.01.06

git 활용 step 2nd / 작업과정 분리하기 - branch

Introduction이번 포스팅부터는 최근에 공부하고 적용해본 내용이다. 물론 혼자 코딩할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레포지토리에 백업하고 다시 갖다쓰는 방법은 이전 포스팅에서 다뤘다.그럼 이제 한 프로젝트를 기능별로, 작업별로 구분해서 관리하고 싶다면 어떻게해야할까?이번 포스팅에서 다룰 내용이다.branch, switch, merge에 대해서 araboza 상황을 만들어보자muzzi project라는 디렉토리를 만들고 깃으로 관리하게  해줬다.세가지 기능을 각각 파일로 분리해줬음. user기능, board기능, error기능 등 코딩을 할거다. 각각의 파일은 저런 코드가 담겨있음이미 디렉토리 별로 코딩을 알아서 하면된다. 작업을 파일, 디렉토리별로 구분하는건 뭐 다들 사용해본..

git/git 2025.01.04

git 활용 step 1st / 혼자서 백업용도로 사용하기

Introductiongit은 단순히 협업 툴? 이런 용도로 다들 인식하지만 난 혼자서 맨땅에 대가리 박으며 공부를 한 터라, 사실 협업이란게 무의미했다.그래서 맨처음엔 아예 시작도 안했는데 어느순간 필요성이 느껴진 이유가, 바탕화면에 코드 파일들이 아주 더럽게 넘쳐나서부터이다. 재사용되는 코드가 있는데, 계속 뭔가 덧붙여져서 원본 파일 찾기도 매우 힘들었음.참고로 난 깃을 코딩을 시작한지 약 1년? 정도 지나서야 깃을 깔짝깔짝 만져봤던것같다.사실 포스팅을 읽으면 왜 이런 기본적인걸 포스팅까지하지? 라는 의문점이 들테지만 나도 예전에 깃을 처음 접했을때, 굉장한 이질감을 느꼈던 이유가 왜써야하는지 잘 못느꼈기때문이었음. 떄문에 과거의 나같은 코찔이들을 위해 포스팅을 할거다.때문에 활용방법 위주로 포스팅하..

git/git 2025.01.04

gitHub Actions / basic & template

Introduction깃헙액션에 대한 개념과 기본적인 사용방법을 포스팅 하려고 한다.   # 깃헙 액션이 뭐하는 걸까?CICD툴이라고 하는데 그냥 단순하게 github에서 컴퓨터 하나받아서 코드 실행환경 주는거라 생각하면 될듯.이게 뭔말이냐면, github에서 특정 이벤트 발생할때, 어떤 명령어들을 실행해줘~ 이런 느낌이라고 해야할까람다같은 느낌인데 github action은 github에 종속된 특정 이벤트가 트리거가 될경우만 실행시키는 코드? 라고 생각하면 된다.이걸로 CICD를 구현할 수 있는데, 예를들어 깃헙에 push를 하면 build후에 배포해줘 이런거를 구현 할 수 있다.    # 사용방법- 일단 github repository를 하나 만들자. 이렇게 githubaction이라는 reposi..

git/gitAction 2024.09.10

github ssh로 인증/ 여러 아이디 사용하기

# ssh 키 만들어 연결 한 컴퓨터에서 github 계정 여러개 사용하기 - git | UsingU한 컴퓨터에 여러개의 github를 사용해야 하는데 오류가 발생하는 등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SSH Key를 이용해 한 컴퓨터에 여러개의 github 계정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usingu.co.kr # permission denied해결 [Git] SSH Key로 Push하기원격 저장소에 ssh key를 사용해서 푸시하는 방법에 관해 기록합니다. Mac OS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위와 같이 Github에서는 오는 8월 13일부터 패스워드를 통해 Git에 인증하는 방식을 더이상 지원thoonk.tistory.com

git/git 2024.09.04

github 웹사이트 배포하기

# 일단 깃헙 접속하고 새로운 repository를 만들어준다.  # 이름 정하기repository이름을 꼭!! 내 아이디.github.io로 설정해준다그리고 레포지토리에 내가 만든 웹파일들을 드래그앤드롭해서 넣어준다.  요깃다가   # 확인하기바로는 안되고 조금 기다렸다가https://내아이디.github.io로 들어가면 만든 사이트가 잘 뜬다.     + 뭐 동작원리는 졸라 단순할것같다.그냥 내 계정에 해당되는 github도메인이 있을테고거기에 index.html이랑 다른 정적파일들 보내게 해주면웹이 뜨는거겠지..깃헙이 코드 저장하고 웹에서 들어가도 코드 다 보여주는 사이트라 트래픽도 비슷할테니..s3에서 정적사이트 배포하는거랑 비슷하다.  + CICD도 필요없다걍 폴더 깃헙계정이랑 연결해주고 add..

git/git 2024.07.23

git 복습 / git push clone pull

거의 코딩할때마다 쓰던건데 좀 몰랐던 부분을 알아보자. # push 시에 제한 깃헙에 공동작업자 등록이 되어있어야 push가능. 아닐경우엔 clone만가능(퍼블릭 레포지토리인 경우) # 3자가 push했을경우 난 push 못함. 원격저장소에 변동사항이 발생했을경우 못함. 이럴경우엔 어떻게 해야하느냐? git pull # git pull git pull origin main 폴더가 이미 깃헙에 연결된거라면 걍 git pull만 쳐도됨. 그럼 현재 깃헙에있는 자료들로 다시 다 가져와줌. ** 만약 중복? 된거라면 어떻게할까? 이렇게 충돌된다. 머지처럼 수정하고 하면된다. # 원격저장소 branch만들기 깃헙페이지에서 브랜치 만들수 있음. # 로컬에서 원격저장소 branch만들기 git branch 브랜치명 ..

git/etc 2023.03.08

git 복습 / 파일 커밋 복구하기

# 최근커밋으로 되돌리기 git restore 파일명 # 커밋아이디 시점으로 되돌리기 git restore --source 커밋아이디 커밋아이디는 git log --oneline --all --graph 으로 볼수 있음. # 스테이징 취소하기 git restore --staged 파일명 스테이징은 git add 이거. 난 걍 대충 매번 썼는데 취소할수있다. # 커밋단위 복구하기 git revert 커밋아이디 커밋에서 일어난 작업들 다 취소해줌. 커밋아이디 여러개 쓸수도있음. # 특정 커밋시절로 다 돌아가기. 커밋추가되는거아니고 걍 아예 원초적으로 git reset --hard 커밋아이디 협업할때 쓰면 ㅈ됨 다른사람꺼 다 지워짐. 오늘배운건 딱히.. 걍 브랜치 옮기고 망한 브랜치 삭제해버리면될듯..

git/etc 2023.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