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sonal 22

공부하는데 내가 가진 철학? 같은거

Introduction예전에는 난 뭐 프로그래밍에 프 자도 몰랐던 시절에 적었던 글인데, 자료를 뒤지다보니까 떠서 포스팅해봄ㅋㅋ옛날부터 공부는 안하고 철학? 이런게 관심이 많았음.그래서 보헤미안에 대해서 알게되었었따.보헤미안과 브루주아 두가지 사상에 대해서 책을 읽었었는데, 뭐 당연히 타이틀만 봐도 서양철학이다. 이 글은 동양철학중 하나인 장자와 보헤미안을 짬뽕해서 쓴 글이었음.한 10년전에 적은 글같은데 기억이 정확히는 안난다 ㅋㅋ사실 지금까지 코딩을 하는데 진짜 그지같이 지냈다. 누가보기엔 실패한 인생이라고 할거다.. 혼자서 공부하니까 애초에 사람을 안만나기도 했는데, 뭐 그냥 팩트는 사람들은 남의 인생에 관심이없다 ㅋㅋ암튼 주말 편의점알바를 하면서 한달벌어서 생활비로 쓰고 이런 하루살이? 같은 패턴..

personal/ponderings 2025.01.08

RAM업그레이드

노트북을 지금 5년넘게 사용중인데 램을 따로 사서 업그레이드를 했다. 내 노트북은 기존에 8GB짜리 두개로 총 16GB의 메모리가 있었는데 이번에는 16GB짜리 두 개를 사서 총 32GB로 업그레이드를 한것이다. 예전엔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사실 단순한 웹사이트 제작시에는 크게 메모리 부족이슈는 없었다. 하지만 점점 배우다보니 여러가지 툴들이 필요해서 설치하게되었고 동시에 사용하다보면 16GB의 램용량으로 실사용 메모리공간이 90%에 임박하는일이 잦더라. 그래서 그때그때 안쓰는것들은 종료해주는식으로 운영을 했는데.. 데스크탑을 기본 다섯 여섯개로 작업공간을 분리하고, vs코드만 한두개 키더라도 그게 램 20%용량은 사용중.. 크롬 여러개 띄우면 걍 기본 80후반대 .. 컨테이너도 몇개 띄우다보면 금새 90..

personal/dailyLife 2024.12.21

자바스크립트 공부 순서

음 나도 나름? 1년이상 독학한 입장에서 공부순서는 이렇게 하는게 적당한것같다. 첫단계 : 기초문법 기초문법을 일단 공부해야 뭐라도 되지 않을까? 생활코딩이나 코딩애플같은 간단한 강의를 보는게 좋겠다. 다만 코딩애플은 jquery포함된 js강의말고 ES6이후 js강의를 보는게 좋을듯하다. 근데 jquery있는 강의에도 간단한 변수지정, for문등은 있으니 좀은 봐야할듯.. 이것만으론 부족하니 모던 js에서 어레이메서드 이전까지는? 필요할떄 찾아보고 구글링도 당연히.. 두번째 단계 : 프로젝트 만들어보기 물론 프로젝트라는게 최종위치에 있는 단계라 단순 js기초문법만 배웠다고 해서 될건 아니다. 백단도 배웠다면 간단한 백단정도는 만들수있을것이다. 단순하게 프론트 화면보이게만 하지말고 프레임워크 배우고 vue..

personal/ponderings 2023.07.10

운동을 시작해야겠다.

고질적인 허리통증때문에 허리운동은 가끔하고있다. 운동기구를 언제까지 빨랫대로만 쓸수는 없으니.. 근데 작년에 프로젝트 개발을 하면서 뭐 스트레스도 많이받고 법적문제도 해결해야했기에 혼술을 자주마셨다. 먹고싶은건 바로바로 시켜먹고.. 물론 모아둔 돈도 와장창 깨졌지만, 살이 엄청 쪘었다. 내 인생에서 하이스트웨이트를 찍은것같다.. 거의 90? 키로까지 됐었으니.. 그래서 올해초?에 편의점알바하다가 하루 아팠는데 꾸역꾸역 일을 해내고 집에오니 기절을 했던때가 있었다. 그때 너무 아파서 3일정도 물or음료만 처마셨었는데 살이 훅빠지더라.. 이때부터 다이어트?를 시작헀다. 지금 한 2개월 좀 넘게 지났고 약 12~13키로 감량이되서 70키로 중반정도 되었다. 이게 내 나이 남성 평균무게라고 하더라. 근데 이건 ..

personal/dailyLife 2023.06.13

난 어쩌면

js deep dive에 변태마냥 빠져들었다 사실 너무 어려운책인데 백단 프론트단 다 쓸수 있는 js를 좀 빡세게 배우고싶어서 이 책을 읽기 시작했다 지금 프로토타입부분을 세번?정도 읽고있는데 다들 여기서 머리터진다고한단다 나도 어렵게 느껴지긴 마찬가지인데 반면에 내면적으론 재밋다.. 내가 수만줄 써왔던 코드가 이런식으로 구조가 되어있는것이고 논리회로짜듯이 딱딱 맞게 들어간다 사실 클래스부분은 코드를짜면서 그냥 살짝 흉내만 내봤었는데 왜 클래스를 쓸까 라는 궁금증이 있긴했다. 함수로 객체를 return하는것과 (물론 그 객체는 메서드도 포함되어있다) 클래스로 객체를 만드는게 무슨차이인가했는데 이것또한 궁금증이 풀렸다 사실 이 블로그에 포스팅하는건 약 10번정도 읽고 어느정도 이해됐다 하는 부분들을 적는거..

personal/dailyLife 2023.05.08

속도보다 꾸준함

자바스크립트 딥다이브 책을 정독하고 있다. 200페이지까지 편의점에서 다섯번은 넘게 반복해서 읽어봤다. 하지만 이번주에 포스팅을 약 50페이지밖에 못하였다. 모르는것들이 너무 많이 발견되고 이해하는데 어렵기 때문이다. 시작은 좀 안일했다. 나는 자바스크립트로 웹사이트를 하나 만들었고 배포까지 했다. nodejs와 vuejs를 사용했기에 자바스크립트를 심화해서 배우는 지금 현상황이 그리 부담되지 않을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단순히 시작하면서 메모리라는 컴퓨터 사이언스 부분에서부터 세세하게 살펴보고 이해하는데 이해가 쉽게되지 않더라. 모든 배움이라는 과정이 어떤가에 따라서 사람의 수준차이는 아주 크게 난다고 본다. 예를들어 나는 어떤 AOS 게임을 즐겨한다. (롤 아님) 흔히들 게임을 수백 수천판을 하지만..

personal/ponderings 2023.03.23

블로그를 좀 이제 체계적으로 써봐야겠다.

처음엔 좀 제대로 작성하다가.. 점점 귀찮아서 코드만 붙여넣고 ㅋㅋㅋ 이젠 나중엔 다른 블로그 링크만 딱 걸어놓는다 ㅋㅋㅋ 이제 좀 제대로 작성을 해봐야겠다. 사진도 이쁘게넣고 글도 설명 자세하게 쓰고.. 이래야겠다. aws부분이 구글링을해도 너무 개개인의 상황에 맞춘 해결방법만 있고 때문에 이해하지 못하고 그대로 따라하다가 아예 인스턴스 자체가 터져버리고..(이것땜에 고생좀함 ㅠ) 이러기 때문에 블로깅이라도 제대로 해놔야 나중에 문제생겼을때 다시 보고 해결방안을 찾을 수 있을것 같다.

personal/dailyLife 2023.01.12

지긋지긋한 UI디자인 작업

디자인작업에 치중하고있다.. 프론트엔드 작업중에서도 단순히 시스템 구조를 만드는것 말고 자잘한 작업들이 너무 많다.. 예를들어 설명해주는 이미지를 만들어야 한다던가.. 이모티콘을 직접 넣어야한다던가.. 예전에 동영상편집을 배우면서 폰트 저작권, 아이콘 저작권, 이미지 저작권등 많은 정보를 얻었어서 여러 이미지들을 저작권체크하고 받아야하고 저작권이 문제될 이미지들은 직접 그려야 하고.. UI구조잡아야하고 으아 너무 지긋지긋하다 그래도 해야지 뭐.. 곧이다.

personal/dailyLife 2022.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