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etc 6

filezilla와 aws(light sail) 인스턴스 연결

filezilla는 인터넷보면 너무 어렵게? 설명되어있더라.. FTS인가 뭔가 하면서 그냥 단순히 내가 굴리는 서버를 filezilla라는 프로그램으로 연결해서 파일들을 직관적으로 다루게 해주는거다. 지금까지는 aws인스턴스에 접근할때 커맨드창으로 접근해서 파일을 다뤘기때문에 ls니cd니 vim에디터니..등등 사용해야했지만 filezilla로 연결하면 파일을 드래그앤드롭등으로 옮기고 쓸수있게 해준다. ##연결하기~ #1 filezilla다운로드 https://filezilla-project.org/ 여기서 클라이언트용으로 본인 컴터에 맞는걸 다운받는다. #2 aws 인스턴스 연결 저 아이콘을 클릭한다. 이렇게 창이뜨는데 여기서, - 프로토콜 : SFTP로 연결, FTP는 보안상 잘 쓰이지 않음. - 호스..

AWS/etc 2023.03.06

aws lightsail database // wait_timeout 설정.

lightsail 자체가 너무 간략화와 쉬운 이용방법에 초점을 맞춰서 데이터베이스설정에 어려움을 겪었다. 나는 wait_timeout 값을 변경하고싶었는데 워크벤치에서 쿼리문을 돌리니 1227에러가 떴었다. 때문에 aws lightsail 데이터베이스에 커맨드로 직접 접근하는 방법을 찾았다. https://jacobowl.tistory.com/96 위 링크는 awscli를 설치하여 lightsail 데이터베이스 파라미터에 접근을 하는것까지 썼다. 이후로 파라미터 설정에 parameter name이 wait_timeout인것을 찾아보면 이렇게 기본설정이 되어있다. wait_timeout값을 워크벤치에서 찾아보니 기본값 28800인가 8시간으로 설정이 되어있었는데 이 파라미터 객체에 없어서 조금 헷갈렸다. ..

AWS/etc 2023.01.12

aws awscli 설치 / lightsail db 파라미터 접근

https://lightsail.aws.amazon.com/ls/docs/ko_kr/articles/lightsail-how-to-set-up-and-configure-aws-cli Amazon Lightsail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AWS Command Line Interface 구성 | Lightsail 문서 AWS Command Line Interface(AWS CLI)는 고급 사용자와 개발자가 터미널(Linux 및 Unix) 또는 명령 프롬프트(Windows)에 명령을 입력하여 Amazon Lightsail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Lightsail 콘솔, 그래픽 lightsail.aws.amazon.com 공식문서 링크. # sudo apt-get -y install awscli..

AWS/etc 2023.01.12

aws 강의 시작/ 1,2,3강

https://www.youtube.com/watch?v=9nBq6PxDvp4&list=PLfth0bK2MgIan-SzGpHIbfnCnjj583K2m&index=5&ab_channel=AWS%EA%B0%95%EC%9D%98%EC%8B%A4 강의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AWS같은거. 장점 : 온디멘드로 쓴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면 됨, 용량추정 불필요 * 용량추정 불필요 : 개별적으로 서버를 구축하게되면 서버피크를 넘었을때 서버가 터져버리게됨. 사용량에 따라 최적화된 사용하게 해주는거임. 용량은 신경안써도된다는거. Iaas : Infrastructure as a service 인프라만 제공. OS를 직접 설치하고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해서 사용. computing, storage, network ->가상의 ..

AWS/etc 2022.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