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concept 5

tree커맨드 사용방법

mkdir test-tree cd test-tree mkdir dir-1 mkdir dir-2 touch dir-1/file-1 touch dir-1/file-2 touch dir-2/file-2 touch dir-2/file-1 뭐 이런식으로 디렉토리와 파일구조를 만들었따고 치면, tree커맨드를 치면 요렇게 디렉토리와 파일이 트리구조로 보여지게된다. 근데 이거 패키지 설치해야한다. ubuntu를 쓰는데 tree커맨드가 없더라. # 설치 sudo apt-get install tree # 명령어 tree 디렉토리명 해당디렉토리의 하위디렉토리 및 파일들을 보여주게된다. tree -d 디렉토리명 디렉토리만 포함해서 보여줘~ tree -d -L 2 디렉토리명 레이어 두번째까지만 보여줘

linux/concept 2023.12.03

리눅스 기본 명령어

## 자주쓸거 echo 하잉 history man -k 명령어 man 정확한명령어 ls -l -h la -alh cp 파일명 ./디렉토리명 echo "텍스트" > 파일명 cp -r 디렉토리명 /디렉토리경로 mkdir -p /babo/muzzi rm -r 디렉토리명 find /etc -type f -size -100k -size +50k # echo echo 하잉 console.log같은거. echo $환경변수 를 치면 간단하게 환경변수 알 수 있음. 도메인 같은 경우는 cat /etc/hosts에 들어있음 # timedatectl timedatecl 시간보여줌 # date date 날짜 # history history 명령어 친거 기록 # !! !! 바로전 명령어 반복 # 명령어 PATH 명령어 $PAT..

linux/concept 2023.11.03

DNS

# DNS란 무엇일까?? 영어는 Domain Name Server이라고 하는데 예전에 난 도메인 구입해본 경험이 있다. 우리가 보통 naver.com이나, google.com을 들어갈때 브라우저에 이 주소를 입려하고 가는데 이게 바로 도메인이다. 사실 브라우저에서는 네트워크 호스트 주소를 입력하고 접속하는게 기본적인데 이게 사용자들한테는 어려우니 도메인이라는걸 사용하는것이다. + 예시 구글의아이피 주소는 216.58.200.228이고 도메인은 google.com이다. 그렇다면 아이피 주소로 입력해도 구글에 접속이 되겠지? 브라우저 주소창에 저 아이피 주소를 붙여넣어보자 접속하면 구글로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도메인은 단순히 브라우저에서만 쓰이는게 아님 네트워크를 사용하는작업이면 모두 도메인설정을..

linux/concept 2023.10.21

방화벽 firewalld

방화벽에 열어줄 포트 추가하기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80/tcp 방화벽에서 80번포트는 열어주겠다. 방화벽이 동작되어도 외부에서 80번 포트로 접근 할 수 있게 됨 firewall-cmd --reload 근데 안된다면 재시작을 해줘야함. 설정을 변경하였으므로. firewall-cmd --liat-all 방화벽정보 보여줘~ 80번포트 tcp에선 열어준다. (udp아니고) ens32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있고 이곳은 public 이라는 영역이다. ssh로 접근 가능하다. (sshd가 동작하고 있음. systemctl status sshd) * 80번포트 열려있다/ ssh서비스도 동작하고 있다. 서로 별개의 개념 http 설정 파일 만지기 vi /etc/httpd/con..

linux/concept 2023.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