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화벽에 열어줄 포트 추가하기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80/tcp
방화벽에서 80번포트는 열어주겠다.
방화벽이 동작되어도 외부에서 80번 포트로 접근 할 수 있게 됨
firewall-cmd --reload
근데 안된다면 재시작을 해줘야함. 설정을 변경하였으므로.
firewall-cmd --liat-all
방화벽정보 보여줘~
80번포트 tcp에선 열어준다. (udp아니고)
ens32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있고 이곳은 public 이라는 영역이다.
ssh로 접근 가능하다. (sshd가 동작하고 있음. systemctl status sshd)
* 80번포트 열려있다/ ssh서비스도 동작하고 있다. 서로 별개의 개념
http 설정 파일 만지기
vi /etc/httpd/conf/httpd.conf
http정보파일.
여기서 listen 80을 listen 8080으로 바꾸면 이제 웹서버는 8080포트에서 동작됨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80/tcp
이로케 방화벽에서 80포트도 열어주면 동작을 하게 된다.
firwall-cmd --liat-all
8080포트도 연결된걸로 뜸둥. 이제 웹사이트 :8080로 접속하면 html받아옴
- 삭제하기
firewall-cmd --permanent --remove-port=8080/tcp
firewall-cmd --reload
이렇게 다시 방화벽에서 안막아줄 포트를 삭제하고
리스트를 보면
없어진걸 볼 수 있다.
- 서비스를 추가하기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http
firewall-cmd --reload
firewall-cmd --list-all
이번엔 포트가 아니라 서비스를 추가해보겠다.
서비스에 http가 추가된걸 볼 수 있다.
넷툴즈
yum -y install net-tools
포트랑 뭐 이것저것 관리하는 도구임
netstat -tnlp
-t : tcp
-n : 포트넘버
-l : 모든 수신 소켓
-p : 서비스 이름
예를들어 apach와 nginx두개 쓸떄 각각 서비스가 어떤 포트 사용하는지 확인 할때 이 툴 자주 씀
'linux > conce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ee커맨드 사용방법 (0) | 2023.12.03 |
---|---|
리눅스 기본 명령어 (0) | 2023.11.03 |
우분투 환경변수 추가 (0) | 2023.11.03 |
DNS (0) | 2023.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