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8s/docker

docker 기본 개념 및 리눅스&윈도우버전 설치

부엉이사장 2023. 10. 29. 16:46

# 일반적인 가상화 (우리가 쓰는 VMware workstation)

먼저 아래서부터 순서대로 우리 데스크탑에 깔려있는 host hard ware위에 윈도우OS가 깔리고 hypervisor 역할로는 VM ware work station이 있다. 그리고 guest hardware으로 VM 머신을 만들고 그 위에 OS로 실습에서 보통 centos로 깔았었다. 그다음 최종적으로 APP이 깔리면서 우리가 원하는 서버를 만들었다.

 

 

# 도커는?

얜 한층 단순하다. 먼저 host hardware로 울 노트북이나 데스크탑을 쓸테고 host OS로 윈도우를 깔았다. 여기까진 똑같지만 그위에 도커엔진을 깔고, 이 도커엔진에서 '컨테이너'를 만들어서 사용한다. 그리고 이 컨테이너는 host os를 공유해서 사용한다.

 

 

 

# 장점은 무엇일까?

일단 우리는 실습할때 VM을 하나 만들고 매번 OS를 깔아줬다. 이 과정이 귀찮아서 템플릿 VM을 만들어서 클론을 만들어 사용하였었는데 암튼 정석적으로는 OS를 깔아야 해서 무겁다. 하지만 도커 같은 경우는 하나의 OS를 공유하고 docker엔진이 컨테이너단위로 APP을 나눌 수 있게 해주니 생성과정이 매우 빠르고 리소스가 적게 든다. 

다만 단점이라고 하는건.. 하나의 OS를 공유하는거라서 OS에선 자유도가 적다는점이다.

 

 

 

 

# 일단 VM을 하나 만들자.

물론 노트북 자체에 도커엔진을 깔아서 쓸 수는 있지만 VM으로 만들어서 하기는 좀 제약이 생기게 되니까..

그냥 아래 그림처럼 생각할거다.

OS는 ubuntu로 깔거다.

ubuntu iso파일은 알아서 구하도록 하자

일단 VM을 파는데 난 2프로세스 HDD 30GB RAM 2G로 만들었다.

우분투 설치는 알아서..잘 하던가 포스팅보고 하샘

 

 

 

# 도커 리눅스버전 설치

curl -fsSL https://get.docker.com -o get-docker.sh

아래 명령어로 도커 관련 이미지 파일을 다운 받는다.

그러면 현재 디렉토리에 get-docker.sh 파일이 다운받아진다.

이건 도커 설치하는 명령어를 스크립트로 묶은 파일인데 우리가 흔히 우분투환경에서 인스톨하고 하는 명령어들을 자동으로 편하게 설치하게 해주는거다. 뭐 설치를 직접해보고 싶다면 직접 해보샘..

암튼 이 스크립트 파일을 다운받아왔으면 아래명령어로 실행시켜주자

sh get-docker.sh

그다음 도커를 실행시켜주자

systemctl enable --now docker

이렇게 설치를 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보면

ip add

도커 인터페이스가 생긴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 인터페이스의 아이피가 도커의 호스트 네트워크가 되는거다.

만약 여기서 인터페이스가 안뜬다면 아래명령어로 도커를 재시작 시켜주자

systemctl restart docker

 

 

 

 

++++++++++++++++

docker hub 레지스트리
다운받는게 image (이미지 다운을 pull)
그리고 container실행 (이미지 실행을 run)

 

각각의 컨테이너에는 운영체제 전체가 설치되는게 아니라 라이브러리(lib)와 실행파일(bin)만 깔려있음

도커는 리눅스로 운영됨

 

 

# 윈도우 대시보드
윈도우는 Docker desktop이 생김. docker dash board
클릭하서 GUI환경으롯 사용할 수 있음. 
images에서 다운받은 이미지들이 나옴.
원하는 이미지를 클릭하고 오른쪽 run 버튼을 클릭하면 컨테이너 모달이나옴
컨테이너 만든거 클릭하면 로그가 나옴
정보는 inspect, 통계는 stats에있음
이미지탭에서 삭제할 이미지 오른쪽 쩜쩜쩜 클릭하고 remove클릭하면 삭제됨
컨테이너 생성할때 포트설정도 할 수 있음.
컨테이너 옆 cli 누르면 터미널환경 접근가능

 

 

 

 

집에서 서버 구축하기 home server 생활코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