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AMI는 아마존 인스턴스 자체를 이미지로 만들어서 재사용할수 있게 하는거다.
이미지뿐 아니라 여러 리소스를 AMI딸수 있는것 같은데 난 EC2로만 해볼생각이다.
KVM공부할때 이미지로 바로 머신을 하나 생성해서 동작시키는 등 여러가지 방면으로 활용가능하다.
예를들어 AMI를 따놓고, 사용자가 많을때 오토스케일링을 활용해서 동일한 이미지로 인스턴스를 수평적으로 확장하거나 할때 쓸 수 있다.
또한 백업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이 이미지를 통째로 다른사람에게 공유할 수도 있다.
# 일단 EC2인스턴스를 하나 만들자.
난 걍 단순하게 hello muzzi world라는 글자가 뜨는 웹서버로 동작하는 ec2인스턴스를 muzzi web이라는 이름으로 하나 만들거다.
잘 만들어졌다.
이제 ssh로 이 인스턴스에 접속해서
sudo su
apt update
apt install nginx -y
vi /var/www/html/index.html
index.html 파일을 hello muzzi world 라는 내용으로 바꾸면 웹서버 완성이다.
만든 웹사이트가 잘 뜬걸 확인 할 수 있다.
# ami 이미지 만들기
저렇게 원하는 muzzi web이라는 인스턴스를 체크하고 작업 - 이미지 및 템플릿 - 이미지 생성을 눌러주면,
이미지 생성 페이지로 넘어가는데, 이름을 넣어주면 된다.
그리고 인스턴스 생성 버을 눌러주자.
그럼 ec2콘솔로 돌아오면서 이미지가 생성중이라는 메세지가 뜬다.
# AMI로 인스턴스 생성하기.
EC2인스턴스의 탭에서 AMI탭으로 들어가면, 아까 만든 muzzi-web의 이미지가 잘 만들어진걸 확인 할 수 있다.
이 이미지를 체크하고, 우측상탄에 'AMI로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눌러주자.
그럼 인스턴스 시작 페이지로 넘어가는데, EC2인스턴스 만드는거랑 비슷하게 생겼다.
일단 이름을 지어주는데 난 second-muzzi-web으로 정해줬다.
그다음 OS를 정해줘야하는데 이미지에 이미 os를 선택했기때문에 필요없다.
그다음 인스턴스 유형을 선택할 수 있는데 기존 muzzi-web은 t2.micro로 만들었었다. 근데 이건 변경할수 있나보다.
밑에 '소프트웨어가 사전 설치된 AMI에는 추가 비용이 적용됩니다'라는걸 보면, 돈이 추가된다는거 같다.
그리고 ssh 접속을 위한 키페어를 지정해주면 된다.
네트워크에서 vpc를 바꿔줄수도 있고 보안그룹도 새로 만들어줘야한다.
AMI가 아닌 템플릿으로 만들면 이런것들도 다 저장되어서 새로운 인스턴스를 만들 수 있다.
오토스케일링은 템플릿을 쓴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인스턴스 시작'버튼을 누르면 인스턴스가 만들어진다.
# muzzi-web AMI로 만든 인스턴스가 아까 웹서버로 잘 동작하나 테스트해보자.
아까 만든 muzzi-web밑에 second-muzzi-web 인스턴스가 생겨났다.
이 muzzi-web인스턴스는 브라우저에서 아래와 같이 웹서버로써 동작했었다.
이제 second-muzzi-web 인스턴스의 퍼블릭 IP 13.125.252.163으로 브라우저에서 접속해보자.
muzzi-web과 같은 내용인 hello muzzi world이라는 웹사이트가 잘 뜨게 된다.
# AMI도 과금이 될까?
된다.
이 AMI는 이미지 파일이다. 이미지파일을 저장하는데 스토리지가 필요하고 이 스토리지 금액이 과금이 된다.
사실 크게 부담되는 가격은 아니고, AMI가 백업용도로 쓰는경우가 많아서 지우지 않아도 된다.
암튼 과금이 된다는게 중요하다.
# 추가해서 스냅샷도 삭제해주자.
EC2의 스냅샷 탭으로 가면 스냅샷들을 볼 수 있는데,
이렇게 만들지도 않았던 스냅샷이 만들어져있다.
왜냐면 AMI를 생성하면 스냅샷이 자동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만들어진거다.
스냅샷도 스토리지를 차지하는거라 과금요소이므로 삭제해주는게 좋다.
++스냅샷이 삭제되지 않는다면..
내경험인데 AMI를 등록취소후, 스냅샷을 삭제하려고 했는데 ami에서 사용하고 있는 스냅샷이라고 계속 삭제되지 않았다.
분명 AMI목록에 ami가 없는데 사용중이라고 떴다.
이 경우는 내 소유라는 디렉토리?가 아닐 확률이 높다.
내 소유를 클릭하면, 여러 이미지 디렉토리?들이있는데 나같은경우엔 disabled images라는곳에 해당 AMI가 들어있었다.
해당 AMI를 작업-등록취소 후, 스냅샷에 가서 직접 다시 스냅샷을 삭제해주면 지워지게 된다.
# 마지막으로..
AMI이미지를 kvm을 구현해서 vm을 팔때는 뭔가 엄청 복잡했는데 aws에서 자체적으로 이미지를 저장하고 해당 이미지로 리소스를 생성 할 수 있게 해놓으니 굉장히 편리하긴 하다. 모든게 돈이라는게 가장 큰 단점이지만..
'AWS > conce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VPC (Virtual Private Cloud) (0) | 2024.01.06 |
---|---|
로드벨런서 생성 (0) | 2024.01.03 |
EC2인스턴스 생성 & ssh연결 & 웹서버로 동작확인 & 업그레이드 (0) | 2024.01.01 |
비용관리 cost explorer & budget alert (0) | 2024.01.01 |
IAM user 생성 (0) | 2023.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