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etc

aws 강의 시작/ 1,2,3강

부엉이사장 2022. 11. 21. 05:21

https://www.youtube.com/watch?v=9nBq6PxDvp4&list=PLfth0bK2MgIan-SzGpHIbfnCnjj583K2m&index=5&ab_channel=AWS%EA%B0%95%EC%9D%98%EC%8B%A4 

 

강의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AWS같은거.

장점 : 온디멘드로 쓴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면 됨, 용량추정 불필요

* 용량추정 불필요 : 개별적으로 서버를 구축하게되면 서버피크를 넘었을때 서버가 터져버리게됨.

사용량에 따라 최적화된 사용하게 해주는거임. 용량은 신경안써도된다는거.

 

 

Iaas : Infrastructure as a service

인프라만 제공. OS를 직접 설치하고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해서 사용.

computing, storage, network

->가상의 컴퓨터를 임대하는것이랑 비슷함. ex) EC2

ex ) 주방만 빌려주는 느낌

 

Paas : 인프라 + OS + 기타 프로그램(런타임)

computing, storage, network, OS + Runtime 

ex ) 주방 +요리재료 + 주방기기 대여해주는것.

 

Saas : 인프라 + OS + 소프트웨어

전부다

ex ) 주방 +요리재료 + 주방기기 + 레시피 대여해주는것.

 

 

#배포모델

공개형 (클라우드) : 

- 모든 부분이 클라우드에서 실행됨.

- 낮은비용, 높은 확장성

* AWS같은거라고 보면 됨

 

폐쇄형 : 

- 개인이 개발한 서버라고 보면 됨

- 커스터마이징할수있음. 보안성 높음

 

혼합형 : 

공개형 + 폐쇄형 합친거. 폐쇄형에서 공개형으로 바꿀때 과도기라고 보면 됨.

 

 

# AWS 구조

리전 : 서울 도쿄등 지역별로 나누어져 있는 단위

- AWS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버의 물리적 위치

각 리전에는 고유의 코드가 존재하고 리전별로 제공되는 서비스가 다름

ex) 서울의 코드는 ap-northeast-2

메인 us-east-1 가장 최초. 여러서비스도 가장 최초로 실행됨

* 리전선택시 고려할점

- 지연속도, 법률, 사용가능한 AWS서비스

 

 

가용영역 : 리전의 하부단위

리전하나에 두개이상의 가용영역이 포함됨.

하나이상의 데이터센터 기준, 서로 네트워크로 연결이 되어있음

반드시 물리적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있음. -> 여러 재해 대비, 보안성을 위해

AZ(가용영역)코드는 실제 위치와 다름 (보안 및 한 AZ에 몰리지 않게 하기위해)

데이터 센터를 여러개로 분산 -> 트래픽 분산, 해커대비 보안 높음

* 내 계정의 AX는 다른사람의 AZ와 다르다.

 

엣지로케이션 : AWS의 Cloud Front(CDN)등 서비스를 가장 빠른 속도로 제공(캐싱)하기 위한 거점.

임시 데이터센터 같은 개념임. 속도 빠름.

 

#서비스 종류 

글로벌 서비스 : 데이터 및 서비스를 전세계의 모든 인프라가 공유

Cloud Front, IAM, Route53, WAF등

리전 서비스 : 특정 리전을 기준으로 데이터 및 서비스를 제공

대부분의 서비스, s3(파일저장) 같은거

 

# ARN : AWS의 모든 리소스 고유 아이디.

 

'AWS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lezilla와 aws(light sail) 인스턴스 연결  (0) 2023.03.06
aws lightsail database // wait_timeout 설정.  (0) 2023.01.12
aws awscli 설치 / lightsail db 파라미터 접근  (0) 2023.01.12
aws lightsail/ mysql db 연결  (0) 2022.11.07
tlqkf  (0) 2022.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