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20

git 복습 / git branch, merge

# git branch git branch 브랜치명 브랜치를 생성해보자. 난 sample_modify로 만들었음. 간단히 프로젝트 사본을 만들어버린거임. # 브랜치목록 보기 git branch -v # 브랜치 이동 git switch 브랜치명 git switch 브랜치명 # 커밋로그 git log --oneline --all --graph 순서대로 sample_modify 라는 브랜치가 생성됐고 sample branch modify 라는 커밋이됐음 그리고 메인브랜치로 이동해서 from main이란 커밋이 됐음. # merge 먼저 주 브랜치로 이동해야함. git merge 합칠브랜치이름 여기서 중요한게 충돌할수있음 난 sample_modify에서 커밋한거랑 main에서 커밋한거랑 같은파일에 같은줄을 수정..

git/etc 2023.03.08

git 복습 / git difftool, git graph 바뀐코드 비교하기.

# difftool git difftool 이거치고 Y누르면 이렇게 내가 커밋인지 스테이징인지 하고나서 코드가 변한부분을 비교해서 알려줌 **중요! 여기서 그냥 cntl+c누르고 나오면 커맨드에 타이핑하는게 안나오더라. vim에디터로 보는거라 vim에서 안나와져서 그런거같음..(확실하진않음) 따라서 :q!로 나오는게 바람직한것같다. # difftool 커밋아이디 먼저 커밋아이디를 알아야한다. git log --oneline --all 여기서 노란글씨가 커밋아이디임 다음으로 git log 커밋아이디 이걸치고 Y로 vim에디터 들어가면 이렇게 해당 커밋과 지금 코드 변한걸 비교해준다. 근데 난 vim에디터 존나 싫어하는데 다른게 좋은거 없을까? # git graph 익스텐션 이거 익스텐션으로 먼저 깔아주고 ..

git/etc 2023.03.08

git 복습 / add commit log status

# git add . git add . 폴더내 모든파일을 스테이징 처리함 # 여러개 파일 스테이징 하기 git add 1.txt 2.txt 이런식으로 두개.. # 폴더경로까지 처리 git add folder/file.txt 폴더내 개별파일 스테이징. # git status 파일을 수정하였을때 브랜치 main에서.. index.js가 수정되었다. 하지만 스테이징처리는 안되었다 뜻. 스테이징까지 한다면? (git add .) 이렇게 변한다. # 깃 커밋내역 보기 git log 이렇게 커밋내역이 나온다~

git/etc 2023.03.08

깃 저장소의 폴더만 삭제하기.

https://velog.io/@dailyhyun/TIL-github%EC%9D%98-%ED%8C%8C%EC%9D%BC%ED%8F%B4%EB%8D%94-%EC%82%AD%EC%A0%9C%ED%95%98%EA%B8%B0 [TIL] github의 파일/폴더 삭제하기 파일 삭제하기, 폴더 삭제하기 모두 터미널 창 또는 cmd를 켠 뒤 삭제하고자 파일/폴더가 있는 위치로 이동해서 실행하기! velog.io 2. 로컬 디렉토리에서는 삭제하지 않고 git에서만 삭제 실수로 .class 같은 커밋하지 말아야 할 파일들을 커밋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다음 명령어를 사용하면 로컬 디렉토리의 파일은 유지한 채 git에서만 삭제할 수 있다. $ git rm --cached HelloJAVA.class $ git com..

git/etc 2023.03.08

github // 정리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helloshopang/test2.git # rm -rf .git 깃 아예 다삭제 # git remote -v 리모트 보는거 # git remote add origin ~~주소 오리진을 새로 설정함 뭐 하나만 씀 보통은.. # git branch 현재 브랜치 목록 보여주는거 # git branch main main이라는 브랜치 생성해주는거 # git branch -d master master이라는 브랜치 삭제해주는거. # git checkout 브랜치명 브랜치명 바꾸기 # git pull origin main main이름으로 리포지토리 통째로 가져오는거 # git push origin main main이란 브랜치로 코드 넣는거. a..

git/etc 2022.09.19

github// 깃파일 오류시

# 프로젝트내 깃파일 다지우기 https://velog.io/@hwang-eunji/github-%ED%8C%8C%EC%9D%BC-%EB%AA%A8%EB%91%90-%EC%82%AD%EC%A0%9C-%ED%9B%84-%EC%B4%88%EA%B8%B0-%EC%83%81%ED%83%9C%EB%A1%9C-%EB%90%98%EB%8F%8C%EB%A6%AC%EA%B8%B0 github 파일 모두 삭제 후 초기 상태로 되돌리기 깃헙페이지 사용하면서 테마 이것저것 적용해보고 있는데,그때마다 페이지용 레포지토리 다시 생성하는게 너무나 귀찮고.. 이 방법이 맞는지 싶지만! 레포지토리 리셋하는 방법을 찾아봤다~리 velog.io # 깃파일이 여러파일에 들어가있을때 방법(하위 깃파일 다지우기) https://zetawiki..

git/etc 2022.09.19

깃헙 // push clone

git init 은 로컬 리포지토리 생성하는 명령어임 # git push 로컬저장소를 깃헙에 올리는거임 git push -u https://github.com/helloshopang/studygithub.git main -u 원격저장소주소(url) branch이름 -u는 기억하라는 뜻 - 저 긴거를 단축할수있음 git remote add 변수명 변수에담을거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helloshopang/studygithub.git 이렇게 하고 git push -u origin main이렇게 치면 됨 -u는 기억하라는 뜻 -u하면 git push만 쳐도 백업됨. # git clone git clone 저장소주소 모든 코드 다 다운받아짐. 클론한걸 push하..

git/etc 2022.09.19

git // git branch

브랜치는 원래있던 코드의 복사본을 만들어서 복사본에 코드수정해서 에러있으면 그냥 복사본만 지우면 됨 에러없으면 원본에 덮음 ## branch 1. git branch 이름 2. git status으로 현재 브랜치 확인함. 3. 그다음 파일 지지고 볶고 하세요. 난 coupon.txt파일 만들어줬음 4. git add . , git commit -m 머머 5. git switch main 하면 원래 브런치로 이동함. 만들었던 coupon.txt파일이 없어짐 ## 브랜치 합치기 merge 1. 먼저 기준 브랜치로 이동. 여기선 main 2. git merge coupon 여기서 중요한건 만약 main브랜치에서 같은파일 예를들어 app.txt를 수정하고 coupon브랜치에서 같은파일 app.txt를 같은줄을 ..

git/etc 2022.07.10

git // 시작 git init add commit log diff등

# 폴더를 깃으로 관리하자 그 폴더 가서 git init치면 됨 # 깃에 파일 넘기기 git add 파일명 # 깃에 파일 현재시점 저장하기 (버전생성) 둘다 add commit다 해야함. 먼저 add로 파일 고르고 , commit으로 기록해주세요~ 작업폴더 ---git add---> staging area ---git commit---> repository(저장소) #파일 여러개 하려고하면 git add app.txt app2.txt 모든 파일은 git add . # git status (상태확인) 어떤파일이 수정됐고 이런게 뜸 # git log --all --oneline 커밋한 내역 알려줌. 메세지와함께 ## vs코드 깃 내장기능 파일을 수정했음. 왼쪽 탭에 깃클릭해서 작업트리 변경전 변경후 볼 수 ..

git/etc 2022.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