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 시발.. 티스토리 서버 터져서 적어놓은거 다 날아가서 다시 쓴다..ㅡㅡ # 같은 메모리 값이라도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 let binaryData = 0b01000001; console.log(Number(binaryData)); //65 console.log(String.fromCharCode(binaryData)); //A 위 코드를 보자. binaryData변수값에 할당한 저 괴상한 숫자는 2진법으로 저장된 65라는 숫자다. 하지만 콘솔로 각각 찍어본 결과는 서로 다른 값이다. https://jacobowl.tistory.com/134 메모리에 저장되는 기본 구조. # 시작하면서 2진법에대해서 되돌아보자. 중학생때 배웠던 2진법을 기억하고 있을것이다. 즉 0,1로 숫자를 표현하는 방법인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