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08

우디 // 워크스페이스 설정

# 필요한 탭들. 윈도우 탭에서 Adjustments Character Color History Layers Paragraph 난 property도 추가해줬음.(일러스트레이터에서 자주써서..) # 워크스페이스 저장하는방법 우측상단에 저렇게 생긴거 누르고 new workspace 들어감 이름 정하구 다 체크하고 save # 워크스페이스 불러오는 방법 위에 저버튼 누르고 reset 워크스페이스 이름 하면 불러와짐.

카테고리 없음 2023.01.12

포토샵 시작 // 일러스트레이터와 차이점.

# 포토샵은 픽셀기반, 일러스트레이터는 벡터기반 뭐 이건 이미 알고있던 사실임.. 때문에 일러스트레이터에 사진같은거 넣으면 렉 오지게 걸림. expand같은거.. # 대지 갯수 제한 일러스트레이터에선 대지를 여러개 두고 작업을 했었다. 때문에 export도 손쉽게 됐는데 포토샵은 대지가 무조껀 하나라고 한다. # 클리핑 마스크 순서제한 cntl+7.. 일러스트레이터에선 마스크가 대상 위에 와야했는데 포토샵은 마스크가 대상 뒤에 있어야 한다고 한다.. # 선택방법 일러스트레이터는 오브젝트 선택 포토샵은 범위로 선택을 한단다. # 레이어 일러스트레이터는 레이어안에서 그룹화 가능 포토샵은 하나만가능. ? 뭔말인지 모르겠어! # cntl + z차이 일러스트는 계속 이전으로 가는데 포토샵은 이전다음 반복이된단다...

블로그를 좀 이제 체계적으로 써봐야겠다.

처음엔 좀 제대로 작성하다가.. 점점 귀찮아서 코드만 붙여넣고 ㅋㅋㅋ 이젠 나중엔 다른 블로그 링크만 딱 걸어놓는다 ㅋㅋㅋ 이제 좀 제대로 작성을 해봐야겠다. 사진도 이쁘게넣고 글도 설명 자세하게 쓰고.. 이래야겠다. aws부분이 구글링을해도 너무 개개인의 상황에 맞춘 해결방법만 있고 때문에 이해하지 못하고 그대로 따라하다가 아예 인스턴스 자체가 터져버리고..(이것땜에 고생좀함 ㅠ) 이러기 때문에 블로깅이라도 제대로 해놔야 나중에 문제생겼을때 다시 보고 해결방안을 찾을 수 있을것 같다.

personal/dailyLife 2023.01.12

aws lightsail database // wait_timeout 설정.

lightsail 자체가 너무 간략화와 쉬운 이용방법에 초점을 맞춰서 데이터베이스설정에 어려움을 겪었다. 나는 wait_timeout 값을 변경하고싶었는데 워크벤치에서 쿼리문을 돌리니 1227에러가 떴었다. 때문에 aws lightsail 데이터베이스에 커맨드로 직접 접근하는 방법을 찾았다. https://jacobowl.tistory.com/96 위 링크는 awscli를 설치하여 lightsail 데이터베이스 파라미터에 접근을 하는것까지 썼다. 이후로 파라미터 설정에 parameter name이 wait_timeout인것을 찾아보면 이렇게 기본설정이 되어있다. wait_timeout값을 워크벤치에서 찾아보니 기본값 28800인가 8시간으로 설정이 되어있었는데 이 파라미터 객체에 없어서 조금 헷갈렸다. ..

AWS/etc 2023.01.12

aws awscli 설치 / lightsail db 파라미터 접근

https://lightsail.aws.amazon.com/ls/docs/ko_kr/articles/lightsail-how-to-set-up-and-configure-aws-cli Amazon Lightsail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AWS Command Line Interface 구성 | Lightsail 문서 AWS Command Line Interface(AWS CLI)는 고급 사용자와 개발자가 터미널(Linux 및 Unix) 또는 명령 프롬프트(Windows)에 명령을 입력하여 Amazon Lightsail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Lightsail 콘솔, 그래픽 lightsail.aws.amazon.com 공식문서 링크. # sudo apt-get -y install awscli..

AWS/etc 2023.01.12

ts // 컴파일, static typing, 인터페이스, 선택적 프로퍼티, readonly

https://www.youtube.com/watch?v=jlzvXcDGZUU&list=PLJf6aFJoJtbUXW6T4lPUk7C66yEneX7MN&index=5&ab_channel=%EB%95%85%EC%BD%A9%EC%BD%94%EB%94%A9PeanutCoding # 타입스크립트 파일에서 컴파일을 하여 js문서로 바꿔줘야 한다. app.ts 라는 파일에서 ts코드를 적었다면 터미널에서 tsc app.ts하면 app.js라는 자바스크립트 문서로 나타난다. # 컴파일후 ts파일에서 중복된함수 에러메세지가 뜬다면? 터미널에서 tsc --init을 치면 없어짐. vs에러야. # 매번 컴파일 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하려면? tsc -w watch로 계속 바로 바꿔주는거임. # 실시간으로 nodemon 처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