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23 2

getter, setter 프로퍼티

# 왜 포스팅하니? getter setter 프로퍼티를 접하고 신기해서 써봄.. 이 문법에대해서 사실 몰랐다. 근데 생각보다 꽤나 유용할것 같아서 포스팅하려고 함. # 내가 문제로 삼았던것. const obj = { dog1: "무찌", dog2: "도리", teamName: obj.dog1 + obj.dog2+'듀오', }; 위 코드는 에러가 뜬다 요렇게 참조에러가 뜬다. teamName프로퍼티가 dog1과 dog2를 참조하는건데 teamName프로퍼티가 자기자신 obj를 참조하는 시점이 실행컨텍스트의 코드평가할때 참조하려고해서 참조에러가 뜨는거다. 호이스팅이 발생하는거지. 그래서 이걸 억지로 만들어보려면..? - 즉시실행함수 const obj = { dog1: "무찌", dog2: "도리", }; (..

객체를 리턴하는 함수 vs 생성자함수 vs 클래스

객체지향을 모르고 걍 코더로써 코딩을 할때 이 세가지의 차이를 잘 몰랐었다. 근데 사실 계속 코드짜면서 굳이? 왜 클래스로 객체를 만들까? 이런 의문은 있었다. 뭐 이걸 공부하기 전까진 동작이되게 코드를 짜는정도 수준이었던것같다. 그래서 이번에 공부하다가 이 세가지의 차이점에 대해서 명확하게 구분하기위해 포스팅을 해보겠다. 일단 세가지 예시코드를 보자~ # 객체를 리턴하는 함수 const makeDog = (name, age) => { return { name, age }; }; 저 함수를 호출하면 객체가 튀어나온다. console.log(makeDog("무찌", 2)); //{ name: '무찌', age: 2 } 이렇게 함수에다가 적절한 파라미터를 넣고 함수를 호출하면 객체를 만들 수 있다. # 생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