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04 2

git 활용 step 2nd / 작업과정 분리하기 - branch

Introduction이번 포스팅부터는 최근에 공부하고 적용해본 내용이다. 물론 혼자 코딩할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레포지토리에 백업하고 다시 갖다쓰는 방법은 이전 포스팅에서 다뤘다.그럼 이제 한 프로젝트를 기능별로, 작업별로 구분해서 관리하고 싶다면 어떻게해야할까?이번 포스팅에서 다룰 내용이다.branch, switch, merge에 대해서 araboza 상황을 만들어보자muzzi project라는 디렉토리를 만들고 깃으로 관리하게  해줬다.세가지 기능을 각각 파일로 분리해줬음. user기능, board기능, error기능 등 코딩을 할거다. 각각의 파일은 저런 코드가 담겨있음이미 디렉토리 별로 코딩을 알아서 하면된다. 작업을 파일, 디렉토리별로 구분하는건 뭐 다들 사용해본..

git/git 2025.01.04

git 활용 step 1st / 혼자서 백업용도로 사용하기

Introductiongit은 단순히 협업 툴? 이런 용도로 다들 인식하지만 난 혼자서 맨땅에 대가리 박으며 공부를 한 터라, 사실 협업이란게 무의미했다.그래서 맨처음엔 아예 시작도 안했는데 어느순간 필요성이 느껴진 이유가, 바탕화면에 코드 파일들이 아주 더럽게 넘쳐나서부터이다. 재사용되는 코드가 있는데, 계속 뭔가 덧붙여져서 원본 파일 찾기도 매우 힘들었음.참고로 난 깃을 코딩을 시작한지 약 1년? 정도 지나서야 깃을 깔짝깔짝 만져봤던것같다.사실 포스팅을 읽으면 왜 이런 기본적인걸 포스팅까지하지? 라는 의문점이 들테지만 나도 예전에 깃을 처음 접했을때, 굉장한 이질감을 느꼈던 이유가 왜써야하는지 잘 못느꼈기때문이었음. 떄문에 과거의 나같은 코찔이들을 위해 포스팅을 할거다.때문에 활용방법 위주로 포스팅하..

git/git 2025.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