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26 3

pod/ flow & init container & infra container

# 파드 생성 순서 우리가 마스터 노드에서 kubectl 명령어를 치면 먼저 api 가 문법 맞는지 체크부터한다. 그다음, etcd정보(node정보들)를 가져와서 스케줄러에 보낸다. etcd가 노드 관리하는듯? 스케줄러는 어느 노드에 pod를 띄울지 정하는애니까 이런 정보를 받아야 노드를 정할 수 있을것이다. 스케줄러는 파드를 어느 node에 띄울지 선택하고 띄워준다. 띄워주고 나서는 running상태가 된다. 배치 받고나서는 running상태 or fail상태 뭐 단순하게 배웠는데, 실제 환경에서 테스트를 해보면.. 현재 위아래로 세션을 두개 띄웠고 위 세션에서는 kubectl get pods -o wide --watch 명령어로 파드생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이제 아래 세션에서 새로운 파드..

k8s/concept 2023.11.26

pod/ 멀티파드, yaml파일 생성

# pod란? 컨테이너를 표현하는 k8s의 최소단위(멀티컨테이너도 됨) 내가 실수 했던게.. 파드하나가 컨테이너인줄 알았는데 api단위라더라. 아이피 하나씩 부여되고 여기엔 여러 컨테이너가 들어갈수도, 하나만 있을수도 있을 수 있는듯. 포트포워딩으로 나눠줄테고.. 예를들어 3티어 아키텍쳐를 파드하나에 쑤셔넣었다고 보면 될듯 암튼 이렇다고 한다. # pod 만들어서 돌리기 kubectl run 파드이름 --image=nginx:latest # 야믈 템플릿 따기 kubectl run test --image=nginx:latest --dry-run -o yaml 현재 생성된걸로 할수도 있고..한데 기본적인 yaml따려면 이게 가장 편한듯? >xxxx.yaml로 아예 파일생성까지도 할 수 있다. 이 명령어를 치..

k8s/concept 2023.11.26

moba x term 아래로 생겨버리는 창 없애기

이렇게 화면 1/3을 잡아먹는 창이 뜨고는 한다. 뭐 필요해서 쓴다면야 유용하겠지만 저렇게 화면에 고정되버리면 여간 짜증나는게 아니다. 가끔 쓰다가 보면 계속 생겨서 없앨때 moba x term을 껐다 켰는데 그럼 또 다시 키고 ssh 연결하고.. 복잡하다. 구글링을 해봤지만 이외로 해결방법은 등잔밑에 있었다. cntl + alt + m을 누르란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etc/devTools 2023.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