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드 생성 순서 우리가 마스터 노드에서 kubectl 명령어를 치면 먼저 api 가 문법 맞는지 체크부터한다. 그다음, etcd정보(node정보들)를 가져와서 스케줄러에 보낸다. etcd가 노드 관리하는듯? 스케줄러는 어느 노드에 pod를 띄울지 정하는애니까 이런 정보를 받아야 노드를 정할 수 있을것이다. 스케줄러는 파드를 어느 node에 띄울지 선택하고 띄워준다. 띄워주고 나서는 running상태가 된다. 배치 받고나서는 running상태 or fail상태 뭐 단순하게 배웠는데, 실제 환경에서 테스트를 해보면.. 현재 위아래로 세션을 두개 띄웠고 위 세션에서는 kubectl get pods -o wide --watch 명령어로 파드생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이제 아래 세션에서 새로운 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