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27 2

pod/ static pod & resource & 환경변수

## static pod 만들기 보통 마스터노드에서 컨테이너를 만들면 저렇게 api서버를 거쳐서 pod가 생성된다. 하지만 static pod는 워커 노드 자체에서 kubelet이 직접 pod를 만든다는 것이다. 즉 이 pod는 kublet데몬에 의해 관리되는 파드이다. 마스터노드에서 확인가능 # 직접 만들어보자. 일단 워커 노드중 아무거나 하나 가서 해당 파일 내용을 보자. cat /var/lib/kubelet/config.yaml 요기에 static pod path가 있음 static pod path는 /etc/kubernetes/manifests 라고 한다. 직접 이 경로에 가보자. cd /etc/kubernetes/manifests https://kubernetes.io/docs/concepts/..

k8s/concept 2023.11.27

pod/ liveness-probe(self-healing)

# 기본개념 pod안에있는 컨테이너가 자체적으로 자가검진을 해서 원하는 기능이 동작안할경우 컨테이너를 재시작 해주는 기능이다. 예를들어 웹서버를 띄웠는데 80포트로 연결했는데 응답이 500번대가 뜨면 컨테이너를 재시작 해주는 거임. # 종류 - httpGet 웹사이트에 80번포트로 게쏙 get요청보내고 응답하는지 확인함. 200응답안주면 컨테이너 재시작해주는거다. - tcpSocket tcp연결을 지정한 포트로 시도하고 안되면 컨테이너 재시작 - exec 커맨드 게속 날리고 종료코드가 0이아니면 컨테이너 재시작 걍 커맨드 날렸는데 응답이 없으면 재시작하는 그런 기능이다. # http로 예를 들어볼까?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test-pod spec: co..

k8s/concept 2023.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