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념 이전에 pod 실행 순서를 설명하면서 써먹었던 그림인데, 파드가 생성되는건 먼저 API에 명령어로 요청을 보내고 etcd에서 노드 정보들을 가져와서 scheduler가 파드를 노드에 알아서 분배해주는 과정으로 pod가 생성된다고 했다. 근데 그 전에도 있던 controller도 포함했는데 설명에 없었다. controller는 pod의 갯수를 보장해주는? 그런거라고 볼 수있다. aws의 auto scaling?에서의 수평적 확산 개념과 연동지어서 생각 할 수도 있을듯..? 파드의 갯수를 보장해준다. 이걸 마스터 노드의 controller가 보장을 해주게 된다. # 컨트롤러의 종류 이렇게 일곱가지의 컨트롤러 종류가 있는데, cronjob - job은 짝꿍, deployment와 replicaset은..